티스토리 뷰

목차



    프리랜서로 일하면 세금도 자유롭다고 생각하셨나요?
    자유로워 보이지만, 그만큼 책임도 따릅니다.


    매달 3.3% 세금은 자동으로 떼가지만, 사실 그건 '끝'이 아니라 '시작'일 수 있습니다.


    특히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 아래 3가지를 놓치면 환급은커녕 가산세를 맞을 수도 있습니다.

     

     

     

     

     

     

    1. 소득은 신고했는데 경비처리를 안 했다?

     

     

    프리랜서 소득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필요경비를 뺀 순이익에 대해 세금을 냅니다.

    하지만 생각 없이 모두채움신고만 하고 넘기면?

     

    ❌ 자동으로 채워진 수입금액만 신고 → 실제보다 세금 더 냄

     

    실제로 지출한 경비(교통비, 기자재, 사무실 비용 등)를 신고서에 입력해야,
    과세표준이 줄고 세금도 줄어듭니다.

     

     

     

    2. 소득은 여러 군데서 받았는데 일부만 신고했다?

     

     

    프리랜서는 한 곳이 아닌 여러 업체에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중 일부 업체만 원천징수했거나,
    소액 입금이라 별도로 신고 안 한 수입이 있다면?

     

    예를 들어, A 플랫폼에서는 원천징수가 되어 국세청에 신고되었지만,


    B 플랫폼에서는 소액 입금만 있었고 신고되지 않았다면?

    B 플랫폼 수익 누락으로 간주되어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소득 누락 = 국세청은 이미 알고 있음 = 과태료 + 가산세

     

    ✅ 홈택스의 '지급명세서 조회'를 통해 내 이름으로 신고된 수익 전체 확인 후 반영해야 합니다.

     

     

     

    3.신용카드 공제, 4대 보험료 공제? 나와는 무관하다고요?

     

     

    근로소득자처럼 프리랜서도 여러 가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본인 명의 카드 사용액
    • 국민연금, 건강보험 납부액
    • 자녀 교육비, 기부금 등

     

    ❌ "나는 근로자가 아니라 못 받겠지" → 잘못된 생각

     

    ✅ 종합소득세 신고서에서 관련 항목을 입력하면,
    근로자 못지않은 환급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너스: 프리랜서가 꼭 기억해야 할 경비 항목 5가지

     

     

    세금은 줄이고 환급은 늘리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바로 '경비처리'입니다. 실제로 인정되는 대표적인 경비 항목들을 기억해두세요.

     

    • 업무용 노트북, 키보드, 마우스 등 장비 구입비
    • 인터넷 요금, 휴대폰 요금의 업무 비율
    • 교통비, 출장 관련 비용
    • 디자인 툴, 구독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사용료
    • 사무 공간 임대료나 공동 작업실 이용료

     

    이 외에도 본인의 업무 성격에 맞는 지출이라면 대부분 경비로 처리 가능합니다.

    단, 영수증 또는 증빙 자료는 반드시 보관해두는 것이 원칙입니다.

     

     

     

     

    한 줄 정리

     

    프리랜서의 종합소득세 신고는 단순 신고가 아니라 '전략'입니다.





    필요경비, 누락소득, 공제항목까지 모두 챙겨야 정당한 세금 +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