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블로그 운영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기본 제공하는 보고서가 항상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맞춤 보고서(Custom Report)입니다.
맞춤 보고서를 사용하면 블로그 성장에 필요한 데이터만 선택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맞춤 보고서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블로그 분석 메뉴와 필수 용어 총정리
블로그 운영 중 이런 고민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내 블로그를 하루에 몇 명이 방문할까?""어떤 글이 가장 인기가 많을까?""왜 방문자들이 금방 나가버릴까?"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이런
hdream1000.com
맞춤 보고서란?
맞춤 보고서의 정의
맞춤 보고서는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를 중심으로 구성한 보고서입니다.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하고, 중요 지표와 차원을 선택해 자신만의 대시보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맞춤 보고서의 장점
- 필요한 데이터만 집중 분석: 블로그의 성장에 필요한 핵심 데이터만 선택.
- 시간 절약: 여러 메뉴를 이동할 필요 없이 중요한 데이터를 한 화면에서 확인.
- 성과 측정 최적화: 블로그 목표와 직접 연관된 데이터를 빠르게 확인하고 조치 가능.
Step 1: 맞춤 보고서 생성하기
1.1 맞춤 보고서 생성 메뉴로 이동
- 구글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Customization(사용자 정의) > Custom Reports(맞춤 보고서)를 클릭합니다.
- +New Custom Report(새 맞춤 보고서) 버튼을 클릭합니다.
1.2 보고서 기본 설정
- 보고서 이름 지정: 예를 들어, “블로그 트래픽 성장 보고서”.
- 보고서 탭 추가: 각 탭에는 별도의 데이터 조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1.3 지표와 차원 선택
- 지표(Metrics): 분석할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 예: 페이지뷰(Pageviews), 세션(Sessions), 평균 세션 시간(Average Session Duration).
- 차원(Dimensions):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을 설정합니다.
- 예: 트래픽 소스(Traffic Source), 기기(Device), 국가(Country).
1.4 필터 추가
필요한 데이터만 포함하거나 제외할 수 있는 필터를 설정합니다.
- 예: 특정 페이지(예: 블로그 게시물)만 포함하도록 설정.
Step 2: 블로그 성장을 위한 맞춤 보고서 예시
2.1 트래픽 소스별 성장 분석 보고서
- 목적: 어떤 채널(예: 검색 엔진, 소셜 미디어, 이메일)이 트래픽 증가에 기여하는지 분석.
- 설정:
- 지표: 세션, 신규 사용자(New Users), 이탈률(Bounce Rate).
- 차원: 트래픽 소스(Traffic Source).
- 필터: 블로그 URL만 포함.
- 활용 방법:
- 성과가 높은 채널에 더 많은 리소스를 투자.
- 이탈률이 높은 채널에 대해 콘텐츠 전략 수정.
2.2 인기 콘텐츠 보고서
- 목적: 방문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게시물을 파악해 유사한 콘텐츠 제작.
- 설정:
- 지표: 페이지뷰(Pageviews), 평균 세션 시간(Average Session Duration), 이탈률(Bounce Rate).
- 차원: 페이지 URL(Page URL).
- 활용 방법:
- 인기 게시물의 콘텐츠 스타일을 분석하고 확장.
- 이탈률이 높은 페이지는 내용을 보강하거나 UX를 개선.
2.3 모바일 vs 데스크톱 사용자 분석
- 목적: 모바일 및 데스크톱 사용자의 행동 차이를 파악.
- 설정:
- 지표: 세션, 페이지뷰, 평균 세션 시간.
- 차원: 기기(Device Category).
- 활용 방법:
- 모바일 사용자가 많은 경우, 모바일 최적화 전략 강화.
- 데스크톱 사용자가 많은 경우, 더 큰 화면에 적합한 콘텐츠 디자인 적용.
Step 3: 맞춤 보고서 활용 팁
3.1 대시보드와 연결
맞춤 보고서를 구글 애널리틱스 대시보드에 추가해 한눈에 데이터를 확인하세요.
- Customization > Dashboards(대시보드)에서 보고서를 연결하면 매번 메뉴를 이동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2 이메일 알림 설정
- 맞춤 보고서를 자동으로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도록 설정하세요.
- Export(내보내기) > Schedule(일정 설정)에서 원하는 주기로 보고서를 발송받을 수 있습니다.
3.3 여러 속성(Property) 비교
- 동일한 보고서를 복사한 후 여러 속성(예: 여러 블로그)을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Step 4: 맞춤 보고서 데이터로 블로그 성장 전략 세우기
4.1 데이터 기반 콘텐츠 제작
- 인기 콘텐츠 보고서를 활용해 트래픽이 많은 키워드를 추가로 최적화.
- 독자 관심이 높은 주제를 더 깊이 다루는 콘텐츠 기획.
4.2 전환 목표 강화
- 전환 데이터(예: 뉴스레터 가입, 다운로드)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에 방해되는 요소 제거.
4.3 성과가 낮은 페이지 개선
- 페이지별 이탈률과 체류 시간을 분석해 콘텐츠 품질을 개선.
- UX/UI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경험 최적화.
실제 사례: 맞춤 보고서 활용
문제:
트래픽 소스별로 분석해 보니 소셜 미디어에서 유입된 방문자의 이탈률이 85%로 높게 나타남.
조치:
- 소셜 미디어 콘텐츠 개선:
- 게시물에 더 매력적인 제목과 이미지를 추가.
- 랜딩 페이지 최적화:
- 소셜 미디어 링크가 연결된 페이지를 사용자의 기대에 맞게 수정.
- 전환 유도:
- 방문자를 더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해 관련 콘텐츠 추천 섹션 추가.
결과:
- 소셜 미디어 유입 방문자의 이탈률이 85%에서 60%로 감소.
- 전환율이 3%에서 6%로 증가.
결론
구글 애널리틱스의 맞춤 보고서를 활용하면 블로그의 성장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보고서를 설계해 트래픽 증가, 콘텐츠 성과, 전환율 개선 등 다양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해 보세요.